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Ubuntu] 딥러닝 서버 만들기 Chapter # 1

Python 딥러닝-머신러닝

by D.119 2024. 4. 13. 23:31

본문

1) Ubuntu 20.04 LTS 설치하기

 

Ubuntu 20.04.6 LTS (Focal Fossa)

Select an image Ubuntu is distributed on three types of images described below. Desktop image The desktop image allows you to try Ubuntu without changing your computer at all, and at your option to install it permanently later. This type of image is what m

releases.ubuntu.com

  • 위에 링크를 타고 들어가면 다음 아래 사진과 같이 다운 받을 수 있는 사이트가 나옵니다.
  • Desktop image를 다운 받아주시면됩니다.

<그림 1.> Ubuntu 20.04 LTS Download

  • 다운로드 경로는 본인이 제일 기억하기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는 곳에 저장하시면 됩니다.
  • 글쓴이의 경우 간단하게 로컬 C: 드라이브Ubuntu 폴더를 만든 후 그 안에 저장하였습니다.

2) VMware 설치하기

  • 다음 링크를 접속하여 DOWNLOAD FOR FREE 클릭해주세요.

https://www.vmware.com/products/workstation-player.html

 

VMware Workstation Player | VMware

VMware Workstation Player allows you to safely run a second, isolated operating system on a single PC. Learn more.

www.vmware.com

<그림 2.> VMware Workstation 17 Player Download

  • 다운로드 받은 VMware Setup을 실행해 줍니다.
  • 실행 후 Next 클릭!

<그림 3.> VMware Setup 실행

  • I accept the terms in the License Agreement 는 VMware 소프트웨어 사용에 대한 라이선스 계약 조건을 읽고, 이에 동의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 체크 후 Next 클릭!

<그림 4.> 라이선스 계약 조건 동의

  • Add VMware Workstation console tools into system PATH 옵션은 시스템 환경 변수인 PATH에 VMware Workstation 콘솔 도구를 추가하도록하는 설정입니다.
  • 터미널과 명령 프롬프트를 VMware Workstation 관련 도구를 실행할 때 따로 경로를 지정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체크 후 Next 클릭해줍니다!

<그림 5.> 시스템 환경 변수 PATH 추가

  • 첫번 째, 체크박스에 있는 내용은 VMware Workstation 17 Player가 시작될 때 애플리케이션 및 설치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의 새 버전을 확인하도록 하는 설정입니다.
  •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자동으로 최신 버전을 확인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체크해줍니다!
  • 두번 째, 체크박스 내용은 제품을 개선하고, 사용자들의 요구에 맞게 발전시킨다는 내용입니다. 체크 후 Next 클릭!

<그림 6.> 사용자 경험 설정

  • VMware Workstation 17 Player의 바로 가기를 만들 위치를 지정하는 것입니다.
  • DesktopStart Menu Programs Folder를 체크한 후 Next 클릭! (안해주셔도 상관없습니다!)

<그림 7.> 바로 가기 위치 지정

  • Install 클릭하여 VMware 설치를 진행하면됩니다.

<그림 8.> 설치 진행

  • VMware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 Finish를 클릭해줍니다.

<그림 9.> VMware 설치 완료

  • 설치된 VMware를 클릭하여 실행시켜줍니다.
  • 비상업적 용도로 VMware Workstation 17 Player를 무료로 사용하라는 뜻입니다.
  • 체크 후 Continue 클릭!

<그림 10.> 무료 사용

  • Finish를 클릭하여 VMware 설정을 마칩니다.

<그림 11.> VMware 설정 완료

3) VMware에 Ubuntu 설정하기

  •  VMware Workstation 17 Player를 실행합니다.
  • 실행 후 Create a New Virtual Machine 클릭!

<그림 12.> New Virtual Machine Create

  • Browse 클릭 후, 다운로드 받음 Ubuntu ISO 파일을 선택해준 후 Next 클릭!

<그림 13.> 설치한 ubuntu ISO 이미지 설정

  • 계정 정보를 입력합니다.
  • 원하는 Full name을 쓰시고, User namePassword는 본인이 기억하기 쉬운 걸로 적어준 후 Next 클릭!

<그림 14.> 계정 정보 입력

  • Ubuntu 20.04로 제가 원하는 가상 머신의 이름을 변경하였습니다. (원하시는 가상 머신 이름을 작성해보세요!)
  • 우분투의 가상 머신을 저장할 위치를 변경 후 Next 클릭!

<그림 15.> 가상 머신 이름과 저장 경로

  • 우분투에서는 기본 최소 20GB를 권장합니다.
  • Store virtual disk as a single file은 가상 머신의 디스크를 하나의 파일로 저장하는 것입니다.
  • 하지만 대규모 디스크일 경우 단일 파일 크기가 커질 수 있고, 이로 인해 파일 관리 및 이동이 불편해질 수 있다는 단점이있습니다.
  • Split virtual disk into multiple files은 가상 머신의 디스크를 여러 개의 파일로 나누어 저장하는 것입니다.
  • 대용량 디스크도 더 쉽게 관리할 수 있고, 파일 이동이 더 편리해질 수 있기 때문에 Split virtual disk into multiple fiels를 체크해 준 후 Next를 클릭 해줍니다.

<그림 16.> 가상 머신 메모리 및 디스크 설정

  • Customize Hardware를 클릭하여 가상 머신에서 사용할 메모리 크기, CPU 코어 개수들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저는 Default 값으로 되어있는 것들로 냅두었습니다.
  • Power on this virtual machine after creation을 체크 한 후 Finish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가상 머신이 실행됩니다.

<그림 17.> 가상 머신 추가 설정 및 자동 실행

  • 가상 머신을 자동 실행하게 체크 했기 때문에 Finish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림 18.> 자동 실행 모습

  • 기다리다보면 설치가 계속 진행됩니다.

<그림 19.> 설치 진행

  • 설치가 끝나면 Restart하여 재부팅 하시면 <그림 14.>에서 설정한 계정으로 로그인 화면이 보입니다.
  • ID와 PW를 입력하면 됩니다.

<그림 20.> 로그인 화면

4) Ubuntu 20.04 LTS 한글 설정

  • 로그인 후 들어가면 중앙에 다음과 같은 창이 보입니다.
  • 우측 위에 있는 Skip 버튼을 계속 클릭하여 넘어가줍니다.

<그림 21.> Skip 창

  • 위에 창을 다 Skip 한 후 다음과 같은 메시지 박스가 보입니다.
  • Remind Me Later를 클릭하여 일단 지금은 무시해줍니다.

<그림 22.> Software Update 지금은 무시

  • $ sudo apt-get update
    •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패키지 목록을 업데이트하는 명령어입니다.
  • $ sudo apt-get upgrade
    • 시스템에 설치된 패키지들을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는 명령어입니다.

<그림 23.> 업데이트 명령어

  • 좌측 맨 아래에 보이는 아이콘을 클릭해줍니다.

<그림 24.> 아이콘 클릭

  • 클릭한 후 검색란에 Laguage Support를 검색하여 클릭해줍니다.

<그림 25.> Language Support 검색

  • 첫번 째, Install/Remove Languages를 클릭해줍니다.
  • 클릭하면 Installed Languages 창이 열립니다.
  • 두번 째, Installed Langeuages 창에서 English Installed를 체크 해제하고, Korean Installed를 체크해줍니다.
  • 세번 째, Apply를 클릭하여 설치를 진행해줍니다.
  • 네번 째, Language Supoort 창에 한국어가 들어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다섯번 째, Input method가 IBus인지 확인 후 Apply System-Wide를 클릭해 줍니다.
  • 마지막으로 Reboot하여 재실행 시켜줍니다.

<그림 26.> Ubuntu 한글 키 입력 설정

  • 첫번 째, Terminal에서 $ ibus-setup 명령어를 쳐서 IBus Preferences 창을 띄웁니다.
  • 두번 째, Add를 클릭하여 Input method 창을 띄워줍니다.
  • 세번 째, input method 창의 검색란에 Korean을 검색하여 Hangul을 클릭해줍니다.
  • 네번 째, Add하여 클릭한 Hangul을 추가해줍니다.
  • 다섯번 째, Close하여 설정을 맞춰줍니다.
  • (여기서 Korean이 안뜨는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그럴 경우에는 재부팅 또는 <그림 23.>을 보시고 업데이트 등을 해보시길 권장합니다.)

<그림 27.> IBus 설정

  • <그림 24 ~ 그림 25>와 같이 검색란에 settings를 검색하여 클릭해줍니다.
  • 클릭하여 Region & Language를 클릭합니다.
  • Input Sources에 있는 + 버튼을클릭해줍니다.

<그림 28.> Region & Language

  • + 버튼을 누른 후 Add an Input Source 창이 나옵니다.
  • Korean을 클릭!

<그림 29.> Add an Input Source 창

  • Korean을 클릭 후 Korean(Hangul)이 보일 것입니다.
  • Korean(Hangul) 클릭 후 Add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그림 30.> Korean(Hangul) Add

  • 설정을 완료했다면 우측 상단 메뉴바에 한글 선택이 가능한지 확인을 해줍니다.
  • Korean(Hangul)을 선택해줍니다.
  • 선택하면 한/영 키로 한글에서 영어로 체인지가 바로 가능합니다.

<그림 31.> 한/영 키 확인

지금까지 Ubuntu 20.04 LTS 설치와  VMware Workstation 17 Player를 설치하고,

VMware에 Ubuntu의 한글 설정까지 해보았습니다.

긴 글을 읽어주신 여러분께 모두 박수와 감사를 전합니다!